백군기시장, “용인 플랫폼시티 정치적이용 좌시하지 않겠다”
“거짓 정보로 시민들의 눈을 가리는 어떤 행위도 용납하지 않겠다”
27일 백군기 시장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용인 플랫폼시티 개발사업과 관련된 일각의 주장에 대해, 정치적 이용이라고 반박하며. "앞으로 거짓 정보에 대해서는 강하게 대처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용인플랫폼시티는 용인시 기흥구 마북·구성·동백·보정동 일대(275만7,186㎡)에 경제도심 기능을 갖춘 복합자족도시를 만드는 사업이다. 용인시·경기도·용인도시공사·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공공개발사업으로 총 사업비 6조2,850억원 규모, GH(95%)와 용인도시공사(5%)가 지분을 투자했다.
최근 용인지역 정치권 등에서는 플랫폼시티 사업의 개발이익금이, 모두 경기도로 환수돼 용인지역에 재투자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백 시장은 이와 관련해 “플랫폼시티 사업 대상지는 민간의 무계획적 쪼개기 개발로, 난개발을 조장할 우려가 있어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으로 고시하고, GH와 공동개발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또한 개발이익금에 대해서는 “개발이익은 용인시에 환원하겠다는 GH의 서면 제안서가 있다” 며 “플랫폼시티 개발이익은 광교신도시의 사례처럼 용인시에 재투자 된다”고 강조했다.
개발이익금 재투자의 대표적인 사례로 용인시에는 상현 지하차도(석성로)상현도서관, 상현 하수처리장 등이 있고, 경기도가 추진 중인 '도민환원제도'는 GH 전체 사업장에서의 이익금 중 개발투자비와 사업비, 지역 재투자비 등을 뺀 이익배당금 중 20%를 '개발이익 도민환원기금'으로 적립, 이를 도의 균형발전 차원에서 사용하도록 한 제도다. 광교신도시는 GH가 100% 출자한 사업임에도 개발이익금은 부지 편입 면적에 따라, 수원시가 83.7%인 5227억원을, 용인시가 11.5%인 717억원을 배분받았다.
백 시장은 “개발이익은 지역 환원을 위해 플랫폼시티 설계단계에서부터, 시에 필요한 기반시설 설치에 반영하고 있다” 며 “앞으로 정치적인 의도로 플랫폼시티 사업을 악용하지 말아달라. 거짓 정보로 시민들의 눈을 가리는 어떤 행위도 용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