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정연구원, 용인형 디지털 정부 운영방안 제시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결과를 내놓겠다”
용인시정연구원(원장 : 정원영)은, 기획연구보고서 「포스트코로나 시대 용인형 디지털 정부 운영방안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요구되는 미래형 디지털 조직운영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촉발된 비대면 행정서비스 수요, 재택근무의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디지털 행정 시대에 용인시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를 체계적으로 제시했다.
◆ 제도적 차원에서의 대응
동 보고서에 따르면, 용인형 디지털 정부 구축을 위한 기본방향은 크게 4가지이다. 스마트폰으로 해결 가능한 디지털 서비스 구현, 통합형 디지털 서비스 구현, 누구나 접근하기 쉬운 디지털 서비스 제공 등이다.
◆ 조직관리 및 운영 차원의 대응
용인형 디지털 정부 구축을 위한 조직관리 및 운영 차원의 대응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측면으로 구분하고 있다. 하드웨어 측면은 ‘디지털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지능형도시담당관 신설’, ‘클라우딩 및 딥러닝 기반의 빅데이터 시스템 도입’ 등의 디지털 행정 인프라 개선을 제안하였다.
소프트웨어 측면은 디지털 행정에 대한 수용성 확대로서 ‘중간 관리자의 인식 전환’, ‘디지털 행정 수행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 행정서비스 차원의 대응
이 연구는 총 6가지 행정서비스 차원에서 용인형 디지털 정부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복지·돌봄 분야(어르신 맞춤형 온라인 장보기 시스템), 재난안전 분야(사물인터넷 기반 생활 안전서비스), 자치행정 분야(인공지능 영상·음성인식 키오스크 행정서비스), 교통분야(스마트 택시 승강장), 지역경제 분야(인공지능 농업 서비스)로 구분하여 관련 서비스를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용인시정연구원(원장 정원영)은 “코로나19는 기존 전통적인 업무수행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가 향후 용인시 디지털 정부 운영 방안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시정연구원의 역할이 시정을 견인하고 추동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결과를 내놓겠다”고 강조했다.
동 보고서는 용인시정연구원 홈페이지(www.yongin.re.kr)를 통해 누구나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