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구병 발생 주의 당부
공공시설 환경위생 관리 철저당부
지난 6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전국 100개 의료기관에 대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올해 22주차(5월 25일~31일) 외래환자 1천명 당 수족구병 의사환자 수는 21.6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환자 분율 13.8명보다 늘어난 것이며. 연령별로는 0~6세에서 외래환자 1천명당 26.0명으로 발생률이 가장 높아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서 손 씻기와 환경위생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나 고열이나 구토, 호흡곤란, 경련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뇌간뇌염, 무균성 뇌수막염 등 신경계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신속히 종합병원을 방문해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용인시 보건소 관계자는 “기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외부활동이 증가해 작년에 비해 유행시기가 앞당겨져, 영유아를 둔 부모나 어린이집에서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며 ”현재 백신이나 치료제가 따로 없으므로 위생관리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예방과 치료
예방을 위해서는 손을 자주 씻고 감염된 유아와 물건을 공유하거나 신체접촉을 피해야 한다.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에도 쉽게 감염될 수 있으며, 3~7일의 잠복기를 가진다.
수족구병을 위한 특별한 치료는 없다. 진무름과 발열이나 통증과 같은 각각의 증상은 약물을 이용해 완화시킬 수 있다. 근본 증세는 일정한 과정을 거쳐 진행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며,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의사는 이 병의 처방전을 쓰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보통 증세가 나을 때까지 자택에서 안정을 취하는 것이 병에 괴로워하는 아이에게 가장 중요하며 2차 전염에 의한 전파도 막을 수 있다. 해열제는 고열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어, 물이나 미온수에 의한 입욕도 유아의 열을 내리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개인마다 진행되는 병세의 증상이 동일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의사의 진단과 처방은 반드시 필요하다.
(문의)
♣처인구보건소 324-4903
♣기흥구보건소 324-6917
♣수지구보건소 324-8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