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민선6기 첫 조직개편 추진

환경관리사업소, 산업과 등 신설

2014-08-14     천홍석 기자

 

용인시(시장 정찬민)가 오는 10월로 예정된 ‘민선6기 첫 조직개편안’을 내놓았다.
10일 시에 따르면 민선6기 정찬민 시장의 공약상항의 조기 안착과, 구체화를 위한 조직기능 강화, 그리고 100만 대도시 행정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면서, ‘환경관리사업소’ 구청 ‘산업과’ 신설 등의 내용을 담은 조직개편안을 예고했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인력 80명 증원을 필요로 하나, 최소 정원만 반영하여 25명을 증원하여 기존 6국 35과 150팀으로 편성된 시 행정조직에서 6국 31과 137팀 체제로 개편한다.

특히 이번 조직개편에는 6개국 중 기존의 '도시주택국'의 명칭만 그대로 하고, 안전행정국을 ‘안전건설국’ 재정경제국을 ‘경제산업국’ 문화복지국을 ‘복지여성국’ 산업환경국을 ‘경제산업국’ 건설교통국을 ‘안전건설국’으로 명칭을 바꾼다.

또 편리한 교통체계 및 경량전철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도시사업소를 ‘교통관리사업소’로 명칭을 바꿔 교통정책과, 대중교통과, 경량전철과, 차량등록과 4과를 통합했다.
또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태 친화도시 기반 구축을 위해 ‘환경관리사업소’ 1개가 신설된다. 그 소속으로 기존의 녹색성장과가 '기후에너지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환경과 와 청소행정과가 ‘환경관리사업소’로 이동한다.

안전행정부의 지침에 따라 사회적재난, 태풍·홍수 등 자연재난, 대형화재 등 인적재난 등 재난유형에 따라 나뉜 안전관리 기능을 총괄·조정하여,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하는 안전조직 일원화 및 전문화를 위해 현재 안전행정국이 '안전건설국'으로 명칭을 변경한다.
그 소속으로 공원녹지과가 이동하고 안전총괄과에 '안전기동팀' 1개가 신설 신설되어 시·도 단위의 안전정책 총괄·조정, 종합적·체계적 안전수준 진단·분석, 안전지도 작성·관리, 종합안전상황실의 24시간 가동체제 유지 등 안전관련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산업환경국은 ‘경제산업국’으로 명칭을 바꿔 규제완화 및 일자리 창출과, 투자유치 기능을 강화한다. 또한 복지수요에 따른 능동적 대응과 복지기능 강화와 맞춤형 복지 및 여성정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문화복지국을 ‘복지여성국’으로 명칭을 변경한다.

이외에도 복합민원을 원스톱으로 처리를 하기 위해, 3개 구청에 '건축허가과'가 신설된다. 민원인의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보다 신속·정확한 복합 민원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3개 구 중 처인구에는 축산업이 용인시의 99%를 차지하고 있어, 구제역 등 축산업에 대한 피해를 대비하고, 방역관리 등을 강화하기 위해 처인구청에 '산업과'가 신설된다.

이번 조직개편안의 큰 틀은 민선6기 정찬민 시장 출범과 동시에 시민안전과 복지, 그리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규제완화, 투자유치 기능 강화 등 시정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100만 대도시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분석된다.

시 관계자는 “시장이 새롭게 바뀌면서 처음으로 추진하는 첫 조직개편인 만큼 공약추진, 세수증대, 허과가, 기초연금 및 주거급여, 지방소득세 개편 등에 중점을 두고, 최소 정원만을 반영하였다" 며 "정 시장이 강조한 시민 안전과 복지부분을 좀 더 강화하는 행정체계를 구축하고, 또한 기업규제완화를 통해 지역경제가 살아나고, 기업하기 좋은 용인시를 만들어 100만 대도시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8월 말쯤 입법예고와 조례규칙심의를 거쳐, 9월 12일 열리는 시의회 1차 정례회의에 상정할 예정이고, 오는 10월 조직 개편과 맞물려 민선6기 첫 대폭인사도 단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용인시청 공직자들은 “지난 일 시의원의 5분 발언에 의한 도시주택 국장과 주택과장의 문책성 인사를 단행한데 이어, 갑자기 본청의 5급 사무관급 29명의 자리 이동(전보)을 시켜, 공무원들은 전례에 찾아볼 수 없는 주먹구구식 인사라며 불만과 원성을 사고 있는데, 과연 10월 조직개편안이 시의회에서 통과되면 어떤 자리를 인사이동 시킬지 정말 궁금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