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답풀이 3회~4회
투표체험 및 공명선거 홍보 캠페인 개최
선거법안내 및 선거법위반행위신고 1390
용인시처인구선거관리위원회는 오는 3월 11일에 실시하는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를 앞두고 2월 5일, 2월 10일 용인축산업협동조합, 용인시산림조합 정기총회를 이용하여 조합원을 대상으로 「투표체험 및 공명선거 홍보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조합 내 여론주도층이라 할 수 있는 대의원 등을 대상으로 ▶주요선거사무일정▶선거운동방법▶기부행위 등 제한·금지행위▶과태료 및 포상금▶최근 고발 조치사례 등을 내용으로 선거법 강의를 하였고, 조합원 대다수가 장·노년층 유권자인 점을 감안하여, 조합원들이 새롭게 도입된 투표용지 발급기를 이용한 조합장선거 투표절차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투표방법을 설명한 후 직접 모의 투표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선관위 관계자는 여전히 돈 선거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돈 안주고 안 받는’ 깨끗한 선거가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며, ‘돈 선거’와 관련된 위반행위자에 대하여는 ‘무관용 원칙’에 따라 적발 시 고발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임을 밝히며, 이번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깨끗하고 공정한 선거로 치러질 수 있도록, 모두 함께 노력하여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3)
1. 동시조합장선거의 선거운동은 누가 할 수 있나요?
‣ 조합장선거에서는 ‘선거운동기간(2015. 2. 26. ~ 3. 10.)’에 ‘후보자’만이 선거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 「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에서는 선거운동기간과 방법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고,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사람도 ‘후보자’로 한정하고 있습니다. 선거운동기간 전에는 누구든지 일체의 선거운동을 할 수 없으며, 선거운동기간중이라도 ‘후보자’에 한하여 법에서 정한 방법과 절차에 따라 선거운동을 하여야 합니다.
2. 동시조합장선거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선거운동을 할 수 있나요?
‣ 후보자가 선거운동기간에 할 수 있는 선거운동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거공보의 배부
* 선거벽보의 첩부
* 어깨띠ㆍ윗옷ㆍ소품 이용
* 전화를 이용한 선거운동(오후10시 ~ 오전7시 제외)
- 전화를 이용하여 송ㆍ수화자 간 직접 통화
- 문자(문자 외의 음성ㆍ화상ㆍ동영상 등 제외)메시지 전송
*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선거운동
- 해당 조합이 개설ㆍ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판 등에 글, 동영상 등 게시
- 전자우편 전송
* 다수인이 왕래하거나 집합하는 공개된 장소에서 선거운동을 위한 명함을 선거인에게 직접 주거나 지지 호소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4)
1. 동시조합장선거에서는 어떤 행위가 위법한 행위 인가요 ?
‣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에서 다음과 같은 행위는 「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에 위반됩니다
* 금품, 음식물 등을 제공하거나 제공의 의사를 표시하거나 제공을 약속하는 행위
* 허위사실공표 및 후보자 비방행위
* 조합 임·직원이 그 지위를 이용하여 선거운동을 하는 행위
* 선거운동기간(2015. 2. 26. ~ 3. 10.) 전에 선거운동을 하는 행위
* 후보자를 제외한 그 가족이나 제3자가 후보자나 후보자가 되려는 자를 위하여 선거운동을 하는 행위
* 선거운동을 위하여 선거인을 호별로 방문하는 행위
* 선거사무 종사자를 폭행·협박·유인·감금하는 행위
* 선거관리 및 단속사무와 관련된 시설·물건 및 선거인명부를 은닉·파손·훼손·탈취하는 행위
* 선거일 후 답례로 금품 또는 향응 등을 제공하거나 당선축하회·낙선위로회를 개최하는 행위
2. 기부행위 제한규정을 위반하여 금품 등을 받으면 어떤 처벌을 받나요?
‣ 100만원 이하의 금품을 받은 경우
→ 제공받은 가액의 10배 이상 50배 이하의 과태료 부과
(최고 3000만원)
‣ 100만원을 초과한 금품을 받은 경우
→ 형사처벌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