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의원, 육군 중령도 복무부적응으로 탈영?
김민기의원, 육군 중령도 복무부적응으로 탈영?
  • 천홍석 기자
  • 승인 2021.09.29 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군별로는 육군437건, 해군37건, 공군26건, 해병대18건
김민기 의원
김민기 의원

❙카투사 병장 5명, 복학준비 위해 46일간 집단 탈영

❙육군 대위, 배우자 간호 위해 118일간 탈영

최근 5년간 군에서 병사·부사관·장교 등 총 518건의 탈영이 입건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김민기 의원(더불어민주당/용인시을)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최근 5년간 군사경찰에 입건된 탈영(군무이탈)은 총 518건이다. 군별로는 육군437건, 해군37건, 공군26건, 해병대18건 순 이다.

탈영 사유별로 살펴보면, ‘복무염증 및 복무부적응’에 의한 탈영이 266건, 51.3%로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17~21.8) 사유별 탈영(군무이탈) 입건 건수

구분

복무염증 및 복무부적응

처벌우려

경제문제

신변비관

가정문제

이성문제

기타

건수

(%)

266

(51.3)

69

(13.3)

67

(12.9)

31

(6.0)

28

(5.4)

24

(4.6)

33

(6.3)

518

(100)

 

이어 처벌우려에 의한 탈영이 69건으로 13.3%를 차지했다. 이어 경제문제’ 6712.9%, 신변비관’ 316.0%, ‘가정문제’ 285.4%, ‘이성문제’ 244.6%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인사불만, 건강문제, 복학준비 등에 의한 탈영은 336.3%로 확인됐다.

계급별로 살펴보면, 일병의 탈영에 의한 입건이 21140.7%로 가장 많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5년간(17~21.8) 계급별 탈영(군무이탈) 입건 건

구분

중령

소령

대위

중위

소위

준위

상사

중사

하사

병장

상병

일병

이병

훈련병

군무원

건수

(%)

1

(0.1)

1

(0.1)

15

(2.9)

13

(2.5)

6

(1.1)

1

(0.1)

8

(1.5)

18

(3.4)

46

(8.8)

21

(4)

98

(18.9)

211

(40.7)

55

(10.6)

20

(3.8)

4

(0.7)

장교 37 (7.1)

부사관 72 (13.8)

병사 385 (74.3)

 

이어 상병 9818.9%, 이병 5510.6%, 하사 468.8%, 병장 214%, 훈련병 203.8%, 중사183.47%, 대위 152.9%, 중위 132.5%, 상사 81.5%, 소위 61.1%, 군무원 40.7%, 준위, 소령 중령 각 1건 각 0.1% 순으로 나타났다.

영관급 장교 가운데도 탈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례별로 살펴보면, 육군본부 소속 모 중령은 복무부적응으로 3일 간 탈영하였으며, 해군 1함대에 소속 모 소령은 복무염증으로 1일 간 탈영하여 입건되었다.

한편, 8군 한국군지원단에 근무하던 카투사 병장 5명이 복학준비를 이유로 46일간 집단 탈영한 사례가 확인됐다. 육군 대위가 배우자의 간호를 위해 118일간 탈영한 사례도 있었으며, 정신질환에 의한 훈련병 탈영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탈영은 군형법 상 군무이탈죄로서, 원칙에 따라 엄히 처벌되어야 한다면서도 군은 탈영 발생 시 그 사유와 배경을 면밀히 분석해 탈영자의 주변 환경이나 신상에 문제가 없었는지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무환경과 병영문화를 적극 개선해야 한다밝혔다. 

2017~20218, 사유별, 군별 군무이탈(탈영) 현황(군사경찰 입건 기준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518

437

37

18

26

가정문제

28

상사1 중사1 병장4 상병5 일병12 이병5

27

상사1 중사1 병장4 상병5 일병11 이병5

 

1

일병1

 

경제문제

(금전문제, 부채)

67

대위2 중위2 상사3 중사8 하사11 병장2 상병15 일병23 이병1

53

대위1 중위1 상사2 중사5 하사7 병장1 상병14 일병21 이병1

7

상사1 중사3 하사2 일병1

6

대위1 중위1 하사2 병장1 상병1

1

일병1

 

복무염증 및 복무부적응

266

중령1 소령1 대위9 중위7 소위5 상사3 중사4 하사16 병장6 상병38 일병120 이병38 훈련병17 군무원1

228

중령1 대위7 중위5 소위4 상사2 중사3 하사8 병장6 상병33 일병109 이병32 훈련병17 군무원1

24

소령1 대위2 중위1 소위1 상사1 중사1 하사6 일병5 이병6

6

중위1 상병3 일병2

8

하사2 상병2 일병4

신변비관

31

대위1 준위1 중사1 하사2 병장1 상병12 일병9 이병3 군무원1

27

준위1 중사1 하사2 병장1 상병11 일병7 이병3 군무원1

2

대위1 일병1

2

상병1 이병1

 

이성문제

24

소위1 중사1 하사2 병장1 상병5 일병8 이병4 훈련병2

22

중사1 하사2 상병5 일병8 이병4 훈련병2

 

1

병장1

 

1

소위1

처벌우려

69

중위1 상사1 중사3 하사13 병장1 상병15 일병32 이병3

62

상사1 중사1 하사11 병장1 상병14 일병31 이병3

2

중사2

2

중위1 하사1

3

하사1 상병1 일병1

기타

33

대위3 중위3 하사2 병장6 상병8 일병7 이병1 훈련병1 군무원2

18

대위1 병장5 상병6 일병4 이병1 훈련병1

2

중위1 하사1

 

13

대위2 중위2 하사1 병장1 상병2 일병3 군무원2

<자료: 김민기 의원실, 국방부 제출자료 재구성>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