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 의원, ‘군인사법, 군인 재해보상법 개정안’ 대표발의
김민기 의원, ‘군인사법, 군인 재해보상법 개정안’ 대표발의
  • 천홍석 기자
  • 승인 2022.09.03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군인에 대해, 그 책임을 끝까지 다해야 한다”
김민기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용인 을)
김민기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용인 을)

군인이 공상(공무 수행 중 부상) 전역한 이후, 그 전역의 원인이 된 질병 등으로 사망한 경우 군 순직 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군인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용인시을)은 31일, 심신장애로 전역한 사람이 그 전역의 사유인 질병 등이 원인이 되어 사망한 경우, 전공사상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순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군인사법 일부개정법률안」과, 심사를 통해 순직으로 인정된 경우 순직유족연금, 사망보상금 등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군인 재해보상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법은 군인이 공무상 사고·부상 또는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 전공사상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순직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군 복무 중 발생한 질병 또는 부상으로 공상 전역한 사람이 전역 이후, 해당 질병 등이 원인이 되어 사망한 경우, 사망 시점에 현역 군인 신분이 아니라는 이유로 전공사상심사위원회의 심사대상에서 제외돼 왔다.

그 동안 순직 심사조차 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차별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한편, 2019년 국민권익위원회는 군의관으로 복무하다 뇌종양 진단을 받고 전역해, 전역 11일 후 사망한 육군 대위 사건과 관련하여, 군 복무 중 공상 판정을 받고 전역한 뒤 해당 질병이 악화돼 숨졌다면, 순직 여부를 심사받을 수 있게 제도를 개선할 것을 국방부에 권고한 바 있다.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역시 군 복무 중 발병한 질병으로 공상 전역한 사람이, 그 질병의 후유증이 상당한 원인이 되어 사망한 경우, 국방부가 순직 여부를 심사하도록 제도개선을 요청했다.

김민기 의원은 이번 개정안을 통해 심신장애로 전역한 사람이, 그 전역의 사유인 질병 또는 부상 및 그에 따른 후유증이 원인이 되어 사망한 경우, 전공사상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순직자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심사를 거쳐 순직자로 인정받은 경우에는 순직유족연금, 사망보상금 등 법률에 규정된 보상을 동일하게 받을 수 있도록 「군인 재해보상법 일부개정법률안」도 함께 발의했다.

김 의원은 “국가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군인에 대해, 그 책임을 끝까지 다해야 한다”며, “법안 통과로 공상 전역 후 사망한 군인 유가족들의 짐을 덜어드릴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