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긴밀히 협력하라”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가 강행 수순에 들어가면서 발사 전후의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한미 양국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이와 관련,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한반도 평화교섭 본부장은 4일 오전 미국으로 출국했다.
임 본부장은 6일까지 워싱턴에 머물면서 글린 데이비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등 고위급 미국 측 인사들과 잇따라 접촉할 예정이다.
임 본부장은 대북제재 문제를 담당하는 로버트 아인 혼 국무부 비확산ㆍ군축담당 특별보좌관과도 만날 계획 이라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은 전날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외교안보장관회의에서 "차분하면서도 엄정하게 대응해 나가면서,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라"고 지시했다.

일본 방위성은 해상자위대가 보유한 이지스함을 한국 동해 쪽에 1척, 오키나와(沖繩) 주변에 2척 배치하기로 했다.
이들 이지스함은 해상 배치형 요격 미사일인 SM3를 탑재하고 있다.
방위성은 이 외에도 SM3를 탑재하지 않은 이지스함의 배치도 검토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4월 북한이 미사일 발사 시험을 했을 때도 이지스함 3척을 동해와 오키나와
해역에 배치한 바 있다.
하지만, 방위성 일각에서 검토한 한국 서해 이지스함 배치는 유보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과 중국을 자극할 가능성이 있어 일본 정부 내에서 신중론이 강하기 때문이다.
지난 4월에도 일본 정부는 서해에 이지스함 배치를 검토 했으나, 한국과 중국을 의식해 포기했다.

미국도 지난 4월과 마찬가지로 7척의 이지스함을 한반도와 일본 주변 해역에 배치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본은 북한이 발사한 로켓이나 잔해가 일본 영토에 떨어질 가능성이 있을 경우 요격하기 위해 패트리엇(PAC3)을 배치키로 했다.
방위성은 패트리엇 미사일을 수도권과 오키나와 본토, 이시가키(石垣)섬, 미야코(宮古)섬에 배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용인종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