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흥호수 수질개선에 총력
기흥호수,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

지난 1월 팔당수질개선본부는 환경부에 중점관리저수지 지정을 건의하고, 2월에는 기흥호수 수질개선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용인시, 한국농어촌공사, 지역주민들과 실무점검 협의회에서 문제점을 청취하였으며, 이어 3월에 환경부의 지원으로 용인시와 공동으로 중점관리저수지 관련 용역을 발주하였다.

이렇게 되면 현재 용인시가 민자사업(BTL)으로 2014년 8월 완공으로 진행 중인 레스피아(종말 처리장) 유입수의 하수관거 분리사업과, 검토 중인 종말 처리장 방출수 관거 하류 이전사업과 함께 기흥호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되어, 오염의 근본적 원인을 해결하게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권의원은 밝혔다.
최근 일부 보도에서 용인시의 기흥호수 종합개발계획의 전면 보류에 대해서도 권의원은“현재의 계획은 보류가 아니라 취소되어야 하고, 새로운 지역에 적합한 개발계획이 수립되어야한다”라고 하였다.
또한 2007년도에 용인시에서 계획한 오토캠핑장, 캐러밴, 숙박시설 등 기흥호수 종합개발계획은 주민합의 없는, 주민의 이용이 무시된 개발 수익 계획이라고 지적하였다.

한편, 권의원은 기흥호수 수질개선에 함께하는 기흥호수 살리기 위원회와 오산천 살리기 오산시민연대 위원들과 정기적으로 기흥호수 환경을 점검하고 있는데, 호수변에 다량의 토지를 점유한 대기업이 자신들의 경관만을 확보하려는 개발행태와 다량의 토지를 확보한 일부 소유자를 확인하고 “기흥호수가 누구의 것인가?”하는 물음에 난감해 할 때가 있다고 하였다.

경기도의회 의원 연구단체인 「경기도 호소 경제적 자원화 연구회」 회장이기도 한 권오진 의원은 기흥호수의 활용에 대하여 경기개발연구원에 ‘경기도 호수 활용의 모델로 기흥호수 연구’를 하도록 하였으며, 이 연구는 수립 과정에서 주민 공청회 등을 거쳐 주민 계획안으로 제시될 것이라고 권오진 의원은 밝혔다.
저작권자 © 용인종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