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량천, 녹조현상 심각
김량천, 녹조현상 심각
  • 천홍석 기자
  • 승인 2013.06.16 22: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토뿌리기 시급

 
녹조란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질소, 인 등의 영양물질이 많이 존재하는 부영양 수역에서 주로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수체가 정체되어, 물 흐름이 잔잔한 상태에서, 종다 양성이 깨어지고 1종 또는 적은 종류의 남조류가 우점 하여, 대량 증식하여 물색을 녹색으로 물들이는 현상이다.

 
따라서 녹조현상의 가장 중요한 발생원인은 수체 내 인, 질소 등의 영양물질 농도의 증가, 즉 부영양화(물속에 있는 산소를 감소시키고, 다른 영양염류들이 많은 현상)라고 할 수 있다!
쉽게 말하자면, 물 흐름이 잔잔해지고, 물속의 식물들이 잘 증식할 수 있는 상태(온도 등)가 되어 너무 잘 자라서 물색을 녹색으로 물들이는 현상 이라고 할 수 있다.

왜 이러한 녹조현상이 이슈가 되고 있느냐하면, 그것은 바로 4대강 사업과도 연관이 있다고 판단하여 이슈가 되고 있는 듯하다.
실제로 4대강 사업을 위해 물의 흐름을 막아 녹조 현상이 더 심해진 것은 있지만 무조건적이지는 않다고 반박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녹조 현상의 심화는 이번 2 주간 우리를 괴롭혔던 폭염이 원인이 되었다고 하는데, 이번 폭염과 강수량의 부족이 녹조의 원인이 되었다고 합니다. 수온이 높으면(31~35도) 조류발생 최적의 조건을 가지게 되는데, 현재의 환경이 이러한 조건을 제공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각 지역 지방 환경청은 이러한 녹조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늦었지만, 대처한다고 한다.

 
▶ 녹조현상의 해결방안?
녹조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녹초제거기나 황토뿌리기 등이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황토는 녹조생물을 흡착, 가라앉히고 황토 속에 들어있는 알류미늄과 같은 성질이 녹조생물을 파괴하는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어서 녹조현상의 해결방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김량천(경안천)에도 황토 공 투척하기와, 황토뿌리기를 해서 녹조현상을 없애 생태계를 바로 잡아야 할 것 같다”고 이 현상을 지켜보던 환경단체의 회원들은 말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