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초부터 계속된 북한의 위협 속에서도 차분한 대응으로 국제사회에 깊은 인상을 심어준데다 미국과 중국을 잇따라 방문, 존재감을 높인 상황에서 G20 정상회의에서의 다자외교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기를 청와대는 기대하고 있다.
▶ 선진-신흥국 정책공조 G20 기능부활에 기여할까 = 이번 G2O 정상회의의 주제는 '세계경제 성장과 양질의 고용창출'이다. 박 대통령은 이틀 동안 2차례의 토의 세션과 업무 만찬 및 오찬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이번 다자외교를 통해 G20 정상회의의 기능 부활에 기여함으로써 글로벌 경제ㆍ외교무대에서 한국의 입지를 다지겠다는 구상을 가다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선진국과 신흥국이 같이 어우러져 정책 공조를 협의하는 자리인 G20 정상회의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데에는 상당한 호응을 받았지만 현재는 그 기능이 많이 약화됐다는게 일반적인 평가다.
이를 어떻게 끌어올리느냐가 G20 정상회의의 숙제인 상황에서 대한민국이 이런 직면한 과제에 기여하는 데 박 대통령은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첫날 세션1에서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에 대한 출구전략과 관련해 선진국과 신흥국간 의견차에 대한 견해를 제시할 예정이다.
선진국의 발언이 끝나고 신흥국의 발언이 시작되기 전 발언에 나설 걸로 예상되는 박 대통령은 "2008년에 세계적 경제위기를 빨리 극복한 데에는 신흥국의 협조가 많은 도움이 됐고, 신흥국이 세계 시장의 수요를 창출한 측면도 많았다. 그런데 이제 선진국이 하자는 대로만 하면 신흥국이 어려워지지 않겠느냐"면서 "신흥국의 입장도 고려해야 한다"는 취지의 언급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출구전략에 대해 선진국에서는 금융위기 이후 확대된 양적완화 조치가 종료되는 정상화 과정의 일부로 이해돼야 한다는 입장이 많은 반면, 신흥국에서는 자본 유출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경제운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일자리 창출과 투자'를 주제로 6일 열리는 세션2에서도 박 대통령은 의장국인 러시아의 요청에 따른 '선도발언'(Lead Speech)을 통해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을 부각, G20내 일자리 논의가 본격화하는 계기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G20 정상회의 의장국인 러시아는 의욕적으로 일자리를 의제에 포함시켰는데, 향후 G20 정상회의에서도 이 의제를 계속 다뤄나갈 수 있느냐는 이번 회의에서 참여 정상들간 얼마나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이런 만큼, 박 대통령이 선도발언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대한 G20의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기여하느냐가 G2O 정상회의 참석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