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총장의 감찰 지시가 청와대 및 법무부와의 정면 대응으로 비춰지는데 따른 부담 등 때문에 입장을 바꾼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16일 검찰 등에 따르면, 채 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자신에 대한 사찰을 진행했고, 이 과정에서 김광수 부장검사가 연루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날 점심 무렵 김 부장검사에 대한 감찰을 대검 감찰본부에 지시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채 총장이 김 부장검사에 대한 감찰 착수를 지시했다. 곧 통화내역 조회, 관련자 소환 등 감찰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고 연합뉴스는 이를 오후 1시23분에 보도했다.

곽 전 수석이 공공기관 인사개입으로 인해 해임 당하자, 관련 사찰자료 파일을 이중희 청와대 민정비서관에게 넘겼고 이 비서관은 김광수 부장검사와 이를 공유했다고 주장했다.
채 총장은 이미 지난 5일 이러한 정황을 파악하고 진상 파악을 지시 했으나, 다음날인 6일 조선일보가 채 총장의 '혼외아들 의혹'을 보도하면서 감찰 착수 단계까지 나아가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사의 표명에도 불구하고 법무부가 이날 자신에 대한 감찰을 예정대로 진행 하겠다고 밝히고, 박 의원의 폭로마저 전해지면서 채 총장은 감찰 지시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 총장 지시 이후 실제 대검 감찰라인은 점심 직후 대검 청사에 모여 긴급회의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언론사들도 채 총장과 대검 감찰본부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감찰 지시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대검에서는 “채 총장은 오늘까지 김광수 부장검사에 대한 감찰을 지시한 바 없다"고 말했다고 구본선 대검 대변인이 밝혔다.
구 대변인은 "총장께서 직접 길태기 대검 차장검사에게 전화를 걸어와 김 부장검사에 대한 감찰을 지시한 사실이 없다는 점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사찰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당사자들이 전면 부인하는 가운데, 김 부장검사에 대한 감찰은 필연적으로 이중희 민정비서관과 곽상도 전 민정수석 등 청와대 인사에 대한 조사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 의원으로부터 사찰에 연루된 것으로 지목된 김광수 부장검사는 "허무맹랑한 주장이 제기돼 황당하다.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며 일축했다.
곽상도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법조 출입 한 기자와의 통화에서 "(관련 의혹은) 사실무근이다. 소설 같은 얘기다"라며 의혹을 부인했다.
채 총장은 발언 번복 논란이 일자 "둥지를 깨끗이 하고 이미 떠난 새는 말이 없다"는 말로 개인적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채 총장은 지난 13일 사의를 표명하면서 언론에 대한 입장을 물었을 때도 같은 말을 인용한 적이 있다.
이와 관련 대검 관계자는 "채 총장은 오늘까지 김 부장검사에 대한 감찰을 지시한 적이 없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